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은행권에서는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등 각종 범죄 예방을 위해 다양한 보안 서비스(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여신거래 안심차단, 공동인증서, 보안토큰 등)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보안 서비스별 신청 방법과 준비사항을 정리한 최신 가이드입니다.
1.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개념:
비대면(온라인/모바일)으로 신규 계좌 개설을 원천 차단해,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피해를 예방하는 서비스입니다.
신청 방법:
- 모바일 앱/인터넷뱅킹:
- 은행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 로그인
- [인증/보안] → [보안서비스] → [서비스 신청관리] → [금융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메뉴에서 신청
-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은행 모두 지원
- 금융결제원 어카운트인포 앱/홈페이지:
- 어카운트인포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서비스 신청 가능
- 은행 영업점 방문: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지참 후 가까운 은행 지점 방문
- 신청서 작성 및 직원 대면 확인 후 등록
- 신청 가능 시간:
- 예: KB국민은행은 영업일 및 토요일 오전 7시~오후 10시 신청 가능
- 적용 계좌:
- 입출금 계좌, 외화계좌, 증권사 연계계좌, 개인사업자 계좌 등
2.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개념:
본인 명의로 신규 대출, 신용카드 발급 등 여신거래를 원천 차단하는 서비스입니다.
신청 방법:
- 모바일 앱/인터넷뱅킹:
- 은행 앱 로그인 → [전체 메뉴] → [고객센터] 또는 [금융사기 예방] → [여신거래 안심차단]
- 안내사항 확인, 약관 동의, 본인 인증(공동인증서, 지문, 휴대폰 등) 후 신청 완료
- 영업점 방문:
- 신분증 지참, 신청서 작성 및 직원 확인 후 등록
- 대표 경로 예시:
- 카카오뱅크: [전체] → [고객센터] → [금융사기 예방] → [여신거래 안심차단]
- 신한은행: [보안센터] → [금융사기 예방 서비스] → [여신거래 안심차단]
2025.04.26 - [분류 전체보기] - 통신사 해킹, HSS가 털렸다고? 그게 뭔데? 도감청도 가능하다고?
통신사 해킹, HSS가 털렸다고? 그게 뭔데? 도감청도 가능하다고?
HSS 해킹, 단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서 실제 통신 감청까지 가능한가?HSS란?"통신망의 심장, 그게 바로 HSS(Home Subscriber Server)"HSS는 휴대폰 통신의 핵심 시스템입니다.가입자 인증, 네트워크 접속,
hiking.hjdreams.com
3.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 발급 및 관리
개념:
금융거래 시 본인 인증 및 거래 보안을 위한 필수 인증 수단입니다.
신청 방법:
- 온라인(인터넷뱅킹):
- 은행 인터넷뱅킹 접속 → 인증서 발급/재발급 메뉴
- 신분증 정보 입력, 본인 인증(휴대폰, 계좌 등), 인증서 다운로드 및 설치
- 영업점 방문:
- 신분증 지참, 창구에서 신청
- 직원 대면 확인 후 인증서 발급
- 2025년 변화:
- 주민등록증 또는 모바일 신분증으로 인증서 등록 가능
- 모바일·PC 모두 간편하게 관리 가능
- 유의사항:
- 인증서 유효기간(보통 1년) 내 갱신 필요
- 분실 시 재발급 필요
4. 보안토큰(HSM) 등록 및 사용
개념:
USB 형태의 보안토큰(HSM)에 인증서를 저장해, 해킹 위험을 최소화하는 오프라인 보안수단입니다.
신청 방법:
- 은행 영업점 방문:
- 보안토큰 구입 및 신분증 지참
- 창구에서 보안토큰 사용등록
- 인증서 발급/등록:
- 인터넷뱅킹에서 공인인증서 발급 시 저장 위치를 ‘보안토큰’으로 선택
- 타행 인증서 등록도 가능
- 사용:
- PC USB포트에 보안토큰 연결 → 인증서 위치 ‘보안토큰’ 선택 후 비밀번호 입력
- 유의사항:
- 사용등록 후 7일 이내 인증서 발급/등록 필수
- 비밀번호 분실 시 초기화 및 재발급 필요
5. 신청 시 준비물 및 유의사항
- 공통 준비물: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모바일 신분증 등)
- 은행 계좌번호, 휴대폰(본인 인증용)
- 온라인 신청:
- 공동인증서, 휴대폰 인증, 지문 등 본인 인증 수단 준비
- 서비스 해제:
- 대부분 서비스는 해제 시 반드시 영업점 방문 필요(전화·온라인 불가)
- 신청 결과:
- 신청 즉시 적용되며, 해제/변경은 별도 절차 필요
6. 실전 꿀팁
- 모바일 앱/인터넷뱅킹 메뉴 위치는 은행별로 다르니, ‘보안’, ‘사기예방’, ‘안심차단’ 키워드로 검색
- 신청 직후 정상 적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앱 알림, 문자 등)
- 여러 은행 계좌가 있다면 각 은행별로 별도 신청 필요
- 분실·도난 우려 시 즉시 서비스 신청 또는 은행 연락
- 보안 서비스 해제는 반드시 본인 직접 영업점 방문 필요
요약:
2025년 은행 보안 서비스는 모바일·인터넷뱅킹, 금융결제원 어카운트인포, 은행 영업점 등 다양한 경로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분증과 본인 인증수단만 준비하면 대부분의 보안 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며, 해제는 영업점 방문이 필수입니다. 각 은행별 앱에서 ‘보안’ 또는 ‘안심차단’ 메뉴를 활용하면 빠르고 안전하게 금융사기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2025.04.25 - [분류 전체보기] - 유심 무료 교체 받는 법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후 조치 정리
유심 무료 교체 받는 법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후 조치 정리
SK텔레콤 대표 유영상 사장이 유심 정보 유출 사고에 대해 대국민 사과.4월 18일(금)에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해 고객과 사회에 심려를 끼친 점을 깊이 사과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
hiking.hjdreams.com